31. 부진유위(不盡有爲)며 부주무위(不住無爲)


   "불법은 유위(有爲)에도 다하지 아니하고 무위(無爲)에도 머물지 아니한다 하니 어떤 것이 유위에도 다하지 아니하고 무위에도 머물지 아니하는 것입니까?"
   "유위에도 다하지 아니한다 함은 처음 발심으로부터 드디어 보리수 아래에서 등정각을 이루시고 마침내 쌍림에 이르러 열반에 드실 때까지 그 가운데 일체법을 모두 다 버리지 않음이 곧 유위(有爲)에도 다하지 아니한 것이니라. 무위(無爲)에도 머물지 아니한다 함은 비록 무념을 닦는다 할지라도 무념으로써 증함을 삼지 않으며, 비록 공을 닦으나 공으로써 증함을 삼지 않으며, 비록 보리·열반·무상·무작을 닦으나 무상·무작으로써 증함을 삼지 않음이 곧 무위에도 머물지 아니하는 것이니라."

問 佛法 不盡有爲 不住無爲 何者是不盡有爲 何者是不住
無爲
答 不盡有爲者 從初發心 至菩提樹下成等正覺 後至雙林入
般涅槃 於中 一切法 悉皆不捨卽是不盡有爲也 不住無爲者
雖修無念 不以無念 爲證 雖修空 不以空爲證 雖修菩提涅
槃無相無作 不以無相無作 爲證 卽是不住無爲也

32. 지옥유무(地獄有無)


   "지옥이 있습니까, 지옥이 없습니까?"
   "있기도 하고 또한 없기도 하느니라."
   "어째서 있기도 하고 또한 없기도 합니까?"
   "마음을 따라 짓는 바 일체 악업이 곧 지옥이 있음이요, 만약 마음이 물들지 아니하면 자성이 공한 까닭에 곧 지옥이 없느니라."

問 爲有地獄 爲無地獄
答 亦有亦無
問 云何亦有亦無
答 爲隨心所造一切惡業 卽有地獄 若心無染 自性 空故 卽
無地獄

33. 중생(衆生)과 불성(佛性)


   "죄를 지은 중생도 불성이 있습니까?"
   "또한 불성이 있느니라."
   "이미 불성이 있을진댄 바로 지옥에 들어갈 때에 불성도 함께 들어갑니까?"
   "함께 들어가지 않느니라."
   "바로 지옥에 들어갈 때에 불성은 다시 어느 곳에 있습니까?"
   "또한 함께 들어가느니라."
   "이미 함께 들어갈진댄 지옥에 들어갈 때 중생이 죄를 받음에 불성도 또한 함께 죄를 받습니까?"
   "불성이 비록 중생을 따라 함께 지옥에 들어가지만 중생이 스스로 죄의 고통을 받는 것이요 불성은 원래 고통을 받지 않느니라."
   "이미 함께 지옥에 들어갔을진댄 무엇 때문에 지옥고를 받지 아니합니까?"
   "중생이란 모양[相]이 있음이니 모양이 있는 것은 이루어지고 무너짐이 있음이요, 불성이란 모양이 없음이니 모양이 없는 것은 곧 공한 성품이니라. 그러므로 진공의 성품은 무너짐이 없는 것이니라.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허공에 땔 나무를 쌓으면 땔 나무는 스스로 무너지나 허공은 무너지지 않음과 같으니 허공은 불성에 비유하고 땔 나무는 중생에 비유한 것이니, 그러므로 함께 들어가나 함께 받지 않는다고 하느니라."

問 受罪衆生 有佛性否
答 亦有佛性
問 旣有佛性 正入地獄時 佛性 同入否
答 不同入
問 正入之時 佛性 復在何處
答 亦同入
問 旣同入 正入時衆生 受罪 佛性 亦同受罪否
答 佛性 雖隨中生同入 是衆生 自受罪苦 佛性 元來不受
問 旣同入 因何不受
答 衆生者 是有相 有相者 卽有成壞 佛性者 是無相 無相
者 卽是空性也 是故 眞空之性 無有壞者 喩如有人 於空
積薪 薪自受壞 空不受壞也 空喩佛性 薪喩衆生 故 云同入
而不同受也

34. 삼신사지(三身四智)


   "팔식을 굴려서 네 가지 지혜를 이루며 네 가지 지혜를 묶어서 삼신(三身)을 이룬다 하니, 몇 개의 식이 한 지혜를 함께 이루며, 몇 개의 식이 한 지혜를 홀로 이루는 것입니까?"
   "눈·귀·코·혀·몸의 이 다섯 식이 함께 성소작지를 이루고, 제육식은 의식이니 홀로 묘관찰지를 이루고, 제칠 심식은 홀로 평등성지를 이루며, 제팔 함장식은 홀로 대원경지를 이루느니라."
   "이 네 가지 지혜는 각각 다른 것입니까, 같은 것입니까?"
   "본체는 같으나 이름이 다르니라."
   "본체가 이미 같을진댄 어째서 이름이 다르며, 이미 일을 따라 이름을 세울진댄 바로 하나의 본체일 때 어떤 것이 대원경지입니까?"
   "담연히 공적하여 둥글고 밝아 움직이지 아니함이 곧 대원경지요, 능히 모든 육진에 대하여 사랑함과 미움을 일으키지 않음이 곧 두 가지 성품이 공함이니 두 가지 성품이 공함이 곧 평등성지요, 능히 모든 육근의 경계에 들어가 잘 분별하되 어지러운 생각을 일으키지 아니하고 자재를 얻음이 곧 묘관찰지요, 능히 모든 육근으로 하여금 일을 따라서 응용하여 모두 정수(正受)에 들어가서 두 가지 모양이 없음이 곧 성소작지니라."
   "네 가지 지혜[四智]를 묶어서 세 가지 몸[三身]을 이룬다 함은 몇 개의 지혜가 함께 한 몸을 이루며 몇 개의 지혜가 홀로 한 몸을 이룹니까?"
   "대원경지는 홀로 법신을 이루고, 평등성지는 홀로 보신을 이루며 묘관찰지와 성소작지는 함께 화신을 이루니, 이 세 가지 몸도 또한 거짓으로 이름을 세워 분별하여 다만 알지 못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보게한 것이니라. 만약 이 이치를 확실히 알면 또한 삼신의 응용이 없느니라. 왜냐하면 본체의 성품은 모양이 없어서 머물음이 없는 근본을 좇아서 서니 또한 머물음이 없는 근본도 없느니라."

問 轉八識成四智 束四智成三身 幾箇識 共成一智 幾箇識
獨成一智
答 眼耳鼻舌身 此五識 共成成所作智 第六 是意 獨成妙觀
察智 第七心識 獨成平等性智 第八含藏識 獨成大圓鏡智
問 此四智爲別 爲同
答 體同名別
問 體旣同 云何名別 旣隨事立名 正一體之時 何者是大圓
鏡智
答 湛然空寂 圓明不動 卽大圓鏡智 能對諸塵 不起愛憎 卽
是二性空 二性空 卽平等性智 能入諸根境界 善能分別 不
起亂想而得自在 卽是妙觀察智 能令諸根 隨事應用 悉入正
受 無二相者卽是成所作智
問 束四智成三身者 幾箇智共成一身 幾箇智獨成一身
答 大圓鏡智 獨成法身 平等成智 獨成報身 妙觀察智與成
所作智 共成化身 此三身 亦假立名字分別 只令未解者看
若了此理 亦無三身應用 何以故 爲體性 無相 從無住本而
立 亦無無住本

35. 불진신(佛眞身)


   "어떤 것이 부처님의 참된 몸을 보는 것입니까?"
   "있음과 없음을 보지 아니하는 것이 부처님의 참된 몸을 보는 것이니라."
   "어째서 있음[有]과 없음[無]을 보지 않음이 부처님의 참된 몸[眞身]을 보는 것입니까?"
   "있음[有]은 없음[無]으로 인해서 서고, 없음은 있음으로 인해서 나타나느니라. 본래 있음을 세우지 아니하면 없음도 또한 존재하지 아니하니 이미 없음이 존재하지 않는데 있음을 어디서 얻을 수 있으리오. 있음과 없음이 서로 인해서 비로소 있으니 이미 서로 인해서 있으니 모두가 생멸이니라. 다만 이 두 견해를 떠나면 곧 부처님의 참된 몸을 보는 것이니라."
   "다만 있음[有]과 없음[無]도 오히려 서로 건립하지 못하거늘 부처님의 진신[眞身]이 다시 무엇을 좇아서 설 수 있습니까?"
   "물음이 있기 때문이니, 만약 묻지 않을 때엔 진신의 이름도 서지 못하느니라. 왜냐하면 비유컨대 밝은 거울이 만약 물건의 모양을 대할 때는 모양이 나타나나 만약 모양을 대하지 않을 때는 마침내 모양을 볼 수 없음과 같으니라."

問 云何是見佛眞身
答 不見有無卽是見佛眞身
問 云何不見有無卽是見佛眞身
答 有因無立 無因有顯 本不立有 無亦不存 旣不存無 有從
何得 有之與無 相因始有 旣相因而有 悉是生滅也 但離此
二見 卽是見佛眞身
問 只如有無 尙不可交建立 眞身 復從何而立
答 爲有問故 若無問時 眞身之名 亦不可立 何以故 譬如明
鏡 若對物像時 卽現像 若不對像時 終不見像


,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