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頓悟 - 단박에 깨침
 
   "선지식들아, 나는 오조 홍인(弘忍)화상의 회하에서 한 번 듣자 말끝(言下)에 크게 깨쳐 진여(眞如)의 본래 성품을 단박에 보았느니라(頓見眞如本性). 이러므로 이 가르침의 법을 뒷세상에 유행시켜 도를 배우는 이로 하여금 보리(菩提)를 단박에 깨쳐서 각기 스스로 마음을 보아 자기의 성품을 단박 깨치게(頓悟) 하는 것이다.
   만약 능히 스스로 깨치지 못하는 이는 모름지기 큰 선지식을 찾아서 지도를 받아 자성을 볼 것이니라.
   
   어떤 것을 큰 선지식이라고 하는가? 최상승법(最上乘法)이 바른 길을 곧게 가리키는 것임을 아는 것이 큰 선지식이며 큰 인연(因緣)이다. 이는 이른바 교화하고 지도하여 부처를 보게 하는 것이니, 모든 착한 법이 다 선지식으로 말미암아 능히 일어나느니라.
   그러므로 삼세의 모든 부처님과 십이부의 경전들이 사람의 성품 가운데 본래부터 스스로 갖추어져 있다고 말할지라도, 능히 자성을 깨치지 못하면 모름지기 선지식의 지도를 받아서 자성을 볼지니라.
   
   만약 스스로 깨친 이라면 밖으로 선지식에 의지하지 않는다. 밖으로 선지식을 구하여 해탈 얻기를 바란다면 옳지 않다. 자기 마음 속의 선지식을 알면 곧 해탈을 얻느니라.
   만약 자기의 마음이 삿되고 미혹하여 망념으로 전도되면 밖의 선지식이 가르쳐 준다 하여도 스스로 깨치지 못할 것이니, 마땅히 반야의 관조(觀照)를 일으키라. 잠깐 사이에 망념이 다 없어질 것이니 이것이 곧 자기의 참 선지식이다. 한 번 깨침에 곧 부처를 아느니라.
   
   자성의 마음자리가 지혜로써 관조하여 안팎이 사무쳐 밝으면 자기의 본래 마음을 알고 만약 본래 마음을 알면 이것이 곧 해탈이며, 이미 해탈을 얻으면 이것이 곧 반야삼매(般若三昧)며, 반야삼매를 깨치면 이것이 곧 무념(無念)이니라.
   어떤 것을 무념이라고 하는가?
   무념이란 모든 법을 보되 그 모든 법에 집착하지 않으며, 모든 곳에 두루 하되 그 모든 곳에 집착치 않고 항상 자기의 성품을 깨끗이 하여 여섯 도적들(六賊)로 하여금 여섯 문으로 달려나가게 하나 육진(六塵) 속을 떠나지도 않고 물들지도 않아서 오고감에 자유로운 것이다. 이것이 곧 반야삼매이며 자재해탈(自在解脫)인 무념행(無念行)이라고 이름하느니라.
   온갖 사물을 생각하지 않음으로써 항상 생각이 끊어지도록 하지 말라. 이는 곧 법에 묶임이니 곧 변견(邊見)이라고 하느니라.
   무념법을 깨친 이는 만법에 다 통달하고, 무념법을 깨친 이는 모든 부처의 경계를 보며, 무념의 돈법(頓法)을 깨친 이는 부처의 지위에 이르느니라.

   *돈견본성(頓見本性 본래 성품을 단박에 봄)... 내외명철하면 이것이 곧 식심(識心 마음을 앎)·해탈·무념이고, 무념은 곧 불지라 하였다. 내외명철은 묘각이며, 식심은 견성(見性 성품을 봄)이므로, 견성하면 묘각해탈이요 불지무념이다. 그러므로 견성하면 곧 성불인 것이다.
   '곧 불성을 보아서 아뇩다라삼보리를 얻느니라[卽見佛性하야 得阿 多羅三 三菩提니라 - 涅槃經 二]'
   '반드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어서 불성을 보느니라[必得阿 多羅三 三菩提하야 得見佛性이니라 - 涅槃經 二十]'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무상정각 곧 성불이니, 위의 글들은 성불과 견성이 동일한 내용임을 말한다.
   '지위가 십지인 보살이라 하여도 오히려 불성을 밝게 보지 못하느니라[菩薩이 位階十地하여도 尙未明了知見佛性이니라 - 涅槃經 八]'
   '모든 부처님은 정·혜를 함께 함으로써 불성을 밝게 보느니라[諸佛世尊은 定慧等故로 明見佛性이니라 - 涅槃經 二十八].'
   '보살의 지위가 다하여 미세한 망념을 멀리 떠남으로써 심성을 보나니, 구경각이라고 이름하느니라[菩薩地盡하야 以遠離微細念故로 得見心性이니 名究竟覺이니라 - 起信論].'
   '십지의 성인들이 법문을 설하기를 구름 이는 듯하고 비오듯 하여도, 견성은 비단으로 눈을 가리운 것과 같으니라[十地聖人이 說法은 如雲如雨하야도 見性은 如隔羅穀이니라 - 雲門 傳燈錄 十九].'
   '견성하면 곧 부처가 되느니라[見性하면 卽成如來니라 - 宗鏡錄 四十四].]
   *이상과 같이 부처님과 조사들이 한결같이 견성이 곧 성불이라고 하였으니, 육조스님 말씀과 같다. 그리고 교가(敎家)의 권위인 현수(賢首)도 그의 <기신론의기(起信論義記)>에서 구경불지(究竟佛地)만이 견성이라고 하였으니, '견성이 곧 성불'임은 선(禪)·교(敎)를 통한 근본 철칙이다.
,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