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만법귀일(萬法歸一) 공안

   「조주스님에게 어떤 스님이 묻기를,
   “만법은 하나로 돌아가지만 그 하나는 어디로 돌아갑니까?” 하니,
   “내가 청주(靑州)에서 베장삼(布衫) 하나를 지었는데
   그 무게가 일곱 근 나가더라.” 하였다.」

만법은 한 곳으로 돌아가는데 그 하나는 어디로 돌아가는가?
눈썹을 곧추세우고 활활 타는 불덩이같이
살아도 같이 살고 죽어도 같이 죽으며
갈 때도 같이 가고 머물 때도 같이 머물다가
홀연히 의정이 생기거든 겁내지 마라.
큰 싸움에 임한 듯 다른 것 돌아볼 틈 없이
맞는 경계 거슬리는 경계 만나거든 잘 조화시켜라.
돌아갈 곳 모르겠거든 다른 일 해도 좋다마는
철위산을 때려부수고 나서 보물창고에 걸터앉아
눈 깜박거리고 눈썹 치켜 뜨는 것에
모든 기연 다 나타낼 수 있으면
청주의 베옷은 일곱 근이지마는
문 앞의 복숭아는 여전히 천 그루라네.

7. 염불공안

   「조주스님이 시중하였다.
   “공연히 세월 보내지 말고 염불을 하거나 염법을 하라.”
   그러자 어떤 스님이 대뜸,
   “어떤 것이 학인이 자신을 염(念)하는 것입니까?” 하고 물었다.
   “이에 염하는 이가 누구인가?” 하니,
   “아무도 짝이 없습니다.” 하자,
   “이 당나귀야!” 하고 꾸짖었다.」

‘아미타불’ 한 마디는 흐린 물에 던진 구슬
구슬을 던짐에 물 절로 맑아지듯
아미타 염불함에 망념이 그치니,
물 절로 맑아져 수염 비춰 티끌 씻고
어렴풋이 본래 면목 알아내고
눈썹을 펴 보니 어떻게 생겼던고.

망념이 그치면 세상이 맑게 개여 끝이 안 보이고
파란 유리에 산호가지 돋아나니
백발 노승 맑은 마음도 그저 이러하였던가.
그저 이럴 뿐이니 염불도 바로 공이라.

삼경 한밤중에 햇빛 붉게 비치고
보석연못 황금정토에 만파가 눈앞에 돌아온다.

바로 눈앞에 염불조차 공하니
염공[能念인 空]과 공념[所念인 空]이 한 덩이 되어서
수만리 정토길 당장에 훤해지면
근진음계[6근 6진 5음 18계]가 그대로 마니전일세.

마니전 교교한 빛 불법과 속세를 모두 비추는데
범부가 부처로 된다 하니 그 어떤 일인고?
아!
살아서도 죽어서도 말못할 소식일세.

8. 부모미생전 공안

   「태원 부상좌가 고산스님에게
   “부모에게서 나기 전에 콧구멍(본래면목)이 어디 있습니까?” 하니,
   고산이
   “이제 태어난 뒤엔 어디 있습니까?” 하였다.
   부상좌는 그것을 인정하지 않고 도리어
   “그대가 내게 물으시오. 내가 대답 하리다.” 하였다.
   고산이 “부모에게서 나기 전엔 콧구멍이 어디에 있었소?” 하니,
   부상좌는 그저 부채질만 할 뿐이었다.」

부모에게서 나기 전에는 무엇이 본래 면목인고?
철석심 놓아버리고 취모검을 빼어들면
속세의 티끌 인연 불 속의 하루살이라.
많은 방편 중에 참선이 영험하니
오직 화두만을 들 뿐 옆길로 새지 않으면
천차만별하던 것이 일념에 녹아지리라.

만 길 낭떠러지에 맑은 물 가득하고
푸른 하늘 일대에 조각구름 한가하니
이런 경계 마음 달은 호젓이라도 밝구나.
감히 말하기를 신령한 마음 나타나
그 빛이 온갖 경계 머금었다 하나
온갖 경계는 그 빛 아니라.
오히려 웃을 일이다.

맑은 강물이 흰 비단 같다 하나
흰 비단 아니라 한 올의 실일 뿐
다시 삶아 정련하여 가는 금침 누비고 나면
소주의 베포되고 양주의 비단 되리라.
참구 할지어다.

9. 천 일 결제하고 공안을 참구하는 종묘스님에게 주는 글

도 잘 닦는 납자는 천 일 동안 공을 들여
밤송이를 삼킨 듯 공부해 나아가니,
맑디맑은 경계에 일념이라도 생기면
수미산이 가로막힌 듯 큰 일로 여기네.
일구의 화두는 쇠몽둥이 같아서
불법과 번뇌를 모두 다 끊으니,
혼침과 산란이 통째로 없어진다.
절실 또 절실할지어다.
천 일이 잠깐 사이라.
오락가락하던 알음알이 끊어지면,
두 다리 쭉 펴는 초연한 경계이니,
얼음지옥 불지옥도 마음은 한가롭다.
온몸으로 부딪쳐 무생국(無生國)에 들어가
유무(有無)의 경계를 묘하게 벗어나고,
꽉 막힌 허공에서 남 돌아볼 것 없으면
대지가 칠흑같음을 비로소 알리라.
몸을 뒤집으며 주장자가 산 용(龍)이 되어
산 뚫고 바다 뚫어 고풍(古風)을 진작하니,
일륜삼매력(日輪三昧力)이란 바로 이런 것이라.
온 법계 털끝까지 응용이 무궁하네.
여기에 다시 향상()의 절대경지 있어서
아무리 현묘한 기미라도 모두 아니라 하면,
여래께서 가던 길 따라가지 않더라도
사나이는 자기대로 하늘 뚫을 뜻 있으리.

10. 화두가 절실하면 마에 떨어지지 않는가

   [능엄경]에 나오는 50가지 마(魔) 경계를 자세히 살펴보면, 모두가 집착[着]이라는 한 마디에 대한 내용일 뿐이다. 예컨대 색음(色陰)이 명백한 데서 ‘모든 염(念)을 다 떨쳐버린 경지’를 이렇게 보고 있다.  
   "이런 경계에 도달한 사람은 겁탁(劫濁:색음이 체(體)가 되어 생기는 단명, 기아, 질병, 전쟁 등 세상의 재앙)을 초월한 사람이다."  
   그러나 그 동기를 살펴보자면, 굳어진 망상이 근본이 되어 이것을 그 자리에서 녹여내지 못하고 그 망상 속에 들어앉아 열심히 정진하다가 희귀한 경계라도 나타나면 거기서 성과를 얻었다고 생각하니 어찌 집착이 아니겠는가? 만일 성과를 얻었노라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면 그것이야말로 바른 경계라고 해야 할 것이다. 성스럽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 그것이 집착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이다.
   
   5온 중에 나타나는 모든 마 경계를 ‘망상’ 이란 말로 종합해 보자. 최초의 집착을 바로 깨어버리지 못하면 이 망상이 마의 뿌리와 줄기가 된다. 그러니 그 근본을 뽑지 않고 줄기만을 눌러서 꺾어버리려 한들 되겠는가. 심지어는 허명(虛明:색음이 다스려져 텅비어 밝은 상태)함을 더욱 탐내어 그 정기를 먹게 됨이 다 망상에서 기인하니, 마는 밖으로부터 들어오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조금이라도 이러한 경계를 애써 보호하려 한다면 바로 설상가상이며 불 위에 기름일 뿐이다.
   예컨대 수음(受陰) 가운데서 말한 허명망상(虛明妄想)은 허명함이 바로 망상이란 뜻이다. 왜냐하면 애초부터 ‘마음에 구할 것이 없는 경지’ 에는 이르지 못했으니 그것이 망상이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상음(想陰) 중 융통망상(融通妄想)에 대해서는 그 첫번째 경계에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마음으로 밝고 뚜렷함을 사랑하여 지난번 망의 근원이 지금의 경계와 융통하여 곧 애착이 생기게 되었다” 라고. 이어서 10가지 마 경계를 설명함에 모두 ‘마음으로 어떤 경계를 사랑한다’ 는 식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모두 천마(천마)가 원만한 경계로부터 나와 애착심에게 짝이 되면서 끝없는 마업(마업)을 짓는 것이니 어찌 구제할 수 있겠는가.  
   자못 참선하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이 한 생각을 끊어야 하니 마음이 없으면 사랑함도 없어지고, 사랑함이 없으면 집착이란 말이 있을 수가 없다. 그 중 아홉번째 ‘마음으로 고요함을 사랑하여 깊은 공을 타하는 경계’ 등은 모두 마업이다. 이 역시 애초에 망심을 깨지 못했기 때문으로서, 모래를 쪄서 밥을 짓는 격이니 모래란 밥의 재료가 될 수 없는 것이다.
   
   행음(行陰)에서 유은망상(幽隱妄想) 같은 것은 무릇 행음이 끊임없이 변하면서 성품이 된 것이다. 그런 까닭에 “생멸의 근원이 이로부터 나타나 상음이 다하게 되었다” 라고 하였다. 그런데 행음의 근원을 철저하게 살펴본다면 생멸이 생각생각에 쉬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수행인이 계속 끊임없이 흘러가는 생멸을 따라가지 않으면 부동(不動)하고 밝은 정심(正心)이 생긴다.
   이때 외부의 마는 들어올 기회를 얻지 못하나 다만 뚜렷한 근원인 행음 경계 가운데에서 스스로 헤아리는 마음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 시말(始末)과 유인(有因), 무인(無因) 등을 따져 보게 되는 것이다. 이미 헤아리는 마음이 있으면 정변지는 없는 것인데, 그 ‘헤아림’ 이란 어두움(幽隱:행음이 비밀스럽게 천류하여 알아차리기 힘들므로 어둡다 말한다)에서 나온다. 그래서 본문에서는, “저 유청(幽淸:미세하게 요동하는 세간의 성품)함을 보면 그 근원을 철저하게 볼 수가 없다” 라고 하였다.

   식음(識陰)에서의 전도망상(顚倒妄想) 같은 것은 동분생기(同分生機:행음과 생의 근원을 같이한다는 뜻, 미세하고 끈질긴 세간의 성품)가 갑자기 무너져버리고, 6근이 텅 비고 고요하여 다시는 마구 치닫지 않게 된다. 이렇게 볼 때 텅 비고 고요함이 마구 치닫지 않게끔 하였고, 치닫지 않기 때문에 행음(行陰)이 다하게 된 것이다. 이미 행음이 다하였다면 봄과 들음이 한데 어울려 통하고 서로 막힘 없이 청정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런 까닭에 본문에서는 행음이 공함을 알았다 하더라도 아직은 식(識)의 근원에 의지하고 있는 것이라 운운하며 나아가서는 정묘함이 원만해지지 못하고 문득 깨달았다는 생각을 내게 된다고 하였다.
   
   이 10가지 마 경계는 모두 식심(識心) 때문에 깨달았다는 생각이 생기게 된 것이니 이미 그렇게 되고 나면 깨달음[圓通]을 어기고 온갖 마가 생긴다.
   선문에서 옳게 마음을 쓰는 사람은 이 모든 잘못에 빠지지 않는다. 남악 사대(思大) 스님은 “시방제불이 내 한 입 속에 다 들어갔는데 어느 곳에 다시 제도할 중생이 있다는 말인가.” 라고 하셨다. 이는 불조의 경지에서 그곳에 머물러 두려 해도 머물지 않는 분이니 삿된 마나 외도들이 그를 어찌 한단 말인가.
   삿된 마의 침입을 받지 않으려거든 오직 온몸으로 진리에 들어가기만 하면 될 뿐, 억지로 쫓아내거나 보호하려 하지 말아야 하니, 망상이 다하면 마 경계는 스스로 다하게 된다.
   옛 큰스님은 이렇게 말씀하셨다.

엉킨 뿌리에 한 도끼 내려찍어 마디 밖에
또 새 가지 돋아나지 못하게 함이 좋겠다.”

  * 원제목은 ‘공안을 참구하면서 납자가 화두에 절실하면 능엄경 50마와 외도에 떨어지지 않습니까라고 묻는 육설관주의 물음에 답하는 글’ 이다.

  ** 『능엄경』뒷부분에는 수행자에게 나타나는 장애를 대치해 주기 위해 조도품을 설하고 있는데 그것이 50마(魔)이다. 50마는 색·수·상·행·식 5온에 각각 10가지씩, 거친 데서 미세한 데로 즉 바깥에서 들어오는 마로부터 안에서 생기는 장애로 가면서 설명하고 있다.
,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