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알음알이를 내지 말라

   참선할 때에는 알음알이를 가장 두려워해야 한다. 마음을 여러 갈래로 치닫게 하면 도(道)와는 점점 멀어지게 되니, 그런 식으로는 미륵이 하생(下生)할 때까지 해보아도 아무 소용이 없을 것이다. 만일 의정이 문득 일어난 납자라면 허공 속에 갇혀 있어도 그것이 허공인 줄 모르고 또한 은산철벽(깨뜨리기 어려운 장애를 비유함) 속에 앉아 있듯 하여 오직 살아나갈 길만을 모색해야 하니, "살길을 찾지 못하면 어떻게 편안하게 은산철벽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겠는가." 라고 생각해야 한다.
   단지 이렇게 공부해 나가다 보면 때가 올 것이니, 그때는 어쩔 수 없이 자연히 들어갈(入道) 곳이 나타나게 될 것이다.

17. 공부로는 도를 깨칠 수 없다는 사견을 조심하라

   요즘 삿된 선사가 납자들을 잘못 가르치는 일이 있다. 그들은 "깨치는 길은 공부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다" 또 "옛 사람들은 한번도 공부해서 도를 깨친 일은 없다" 라고 가르친다. 그러나 이런 말은 가장 해로와서 후학을 미혹케 하여 쏜살같이 지옥으로 끌고 가는 것이다.
   대의 선사의 [좌선명]에는 이런 글이 있다.  

참구할 필요 없다 절대로 큰소리 말지니
옛분이 애써서 모범이 되어주지 않았던가
지금은 낡은 누각 버려진 땅이라 해서
한번에 영영 황폐시켜서야 되겠는가.

   만약에 참구할 필요가 없다고 하면서 문득 "나는 도를 깨쳤노라" 고 한다면 이는 하늘에서 떨어진 미륵, 땅에서 솟은 석가일 것이다. 이런 무리들을 이름하여 불쌍한 존재라고 한다.
   자기 스스로 참구하지는 않고 옛 스님들이 도를 묻고 대답한 것을 보고는 문득 자기가 깨달았다고 착각한다. 드디어 알음알이를 깨달음이라고 생각하여 그것으로 사람들을 함부로 속인다. 그러다가 호된 열병에라도 한 번 걸리면 아프다고 하늘에 닿도록 소리치니 평생동안 깨달은 바가 하나도 쓸모없게 된다. 이윽고 죽는 마당에 이르면 마치 끓는 남비 속에 들어간 방게처럼 손을 바삐 움직이고 발버둥을 치게 되니 그제서야 후회해 본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황벽 스님은 이런 노래를 지으셨다.

티끌 세상을 벗어남은 보통 일이 아니니
고삐 끝을 꼭 잡고 한바탕 일을 치루라
매서운 추위가 뼛 속에 사무치지 않으면
       어떻게 매화향기 코를 찌르랴
    
   이것은 가장 간절한 말씀이니, 이것으로써 때때로 스스로를 채찍질하면 공부는 자연히 날로 향상될 것이다. 그것은 마치 백리 길을 가는데 한 발자국을 걸어가면 한 발자국만큼 길이 줄어드는 것과 같은 아치이다. 한 발자국도 걸어가지 않고 제자리에 머물러 있게 되면, 비록 자기 고향일은 훤히 설명할 수가 있지만 진정한 고향인 깨달음에는 끝내 이르지 못하게 될 것이다.  
   
   자, 어느 쪽 일을 택해야 마땅하겠는가?

18. 간절하게 참구하라

   참선하는 데 있어서는 '간절함' 이라는 한마디가 가장 요긴하다. 간절함은 무엇보다도 힘이 있는 말이니 간절하지 않으면 게으름이 생기고, 게으름이 생기게 되면 편한 곳으로 내쳐 마음대로 놀게 되며 못할 짓이 없게 된다. 만일 공부에 마음이 간절하면 방일할 겨를이 있겠는가. 간절하다는 이 한마디만 알면 옛 스님들의 경지에 이르지 못한다고 근심할 필요도 없고, 생사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고 근심하지 않아도 된다. 이 간절하다는 말을 버리고 따로 불법을 구한다면 모두 어리석고 미친 사람들로서 형편없이 빗나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니 이런 엉터리와 참선하는 사람을 어떻게 동일시할 수 있겠는가.
   간절하다는 이 한마디가 어찌 허물만 멀리 할 뿐이겠는가? 당장 선(善)과 악(惡)과 무기(無記)의 3삼성(三性)을 뛰어넘을 수 있다. 무슨 뜻인가? 화두 하나에 온통 간절하게 마음을 쏟으면 선(善)도 생각하지 않게 되고 악(惡)도 생각하지 않게 되며, 또한 간절한 마음 때문에 무기(無記)에 떨어지지도 않는다.
   화두를 간절히 참구하면 마음이 들뜨는 상태와 어둡게 가라앉는 상태가 없어지고, 화두가 눈앞에 나타나면 무기(감각이 없는 상태)에 떨어지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간절하다는 이 한마디가 가장 친절한 말이다. 마음씀이 매우 간절하면 마가 들어올 틈이 없다. 또한 있다 없다 를 놓고 분별심을 내지 않아서 외도에 떨어지지도 않는다.

19. 참선 중에는 앉아 있음도 잊어라

   참선하는 중에는 걸어가도 걷는 줄을 모르고 앉아 있어도 앉은 줄을 모르니, 이것을 화두가 현전(現前)한다고 말한다. 의정이 깨어지지 않으면 몸과 마음이 있는 줄도 모르는데 하물며 걷고 앉는 일을 의식하겠는가.

20. 주변사에 마음을 쓰지 말라

   참선하는 납자는 시(詩)를 짓고 노래 부르며 글쓰기를 생각하는 일을 가장 조심해야 한다. 시나 노래로 대가(大家)가 되면 '승려시인 아무개'라 불리우고, 문장력이 뛰어나면 '글 잘하는 아무개' 스님이라 불리게 되나 참선과는 아무 관련이 없는 일이다. 마음에 맞거나 거슬리는 바깥 경계가 사람의 마음을 흔드는 경우를 만나게 되면 그 자리에서 알아차려 깨뜨려야 한다. 그리고는 화두를 들고서 바깥 경계를 따라 굴러가지 말아야 비로소 제대로 되었다 할 수 있다.
   어떤 사람은 '그렇게 바짝 조여댈 것 없다' 라고 말하는데 이러한 태도가 가장 사람을 그르치게 하는 공부이니, 납자라면 반드시 명심해야 한다.
,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