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 내외명철(內外明徹)

   무엇을 청정법신불이라 하는가? 세상사람의 성품은 본래 스스로 청정하여 만법이 다 자기의 성품 가운데 있으니, 모든 법이 다 자기의 성품에 있어서 자기의 성품은 항상 청정하니라.
   해와 달이 항상 밝으나 다만 구름이 덮여서 위는 밝고 아래는 어두워 일월성신(日月星辰)을 뚜렷하게 보지 못하다가, 문득 지혜의 바람이 불어와서 구름과 안개를 말끔히 거두어 버리면 온갖 것이 일시에 모두 나타나느니라. 세상 사람들의 성품이 청정함도 마치 깨끗한 하늘과 같으며 혜(惠)는 해와 같고 지(智)는 달과 같아 지혜가 항상 밝거늘, 밖으로 경계에 집착하여 망념의 뜬구름이 덮여서 자기의 성품이 밝을 수 없느니라. 그러므로 참다운 법을 열어 주시는 선지식을 만나 미망(迷妄)을 없애 버리면 내외 명철하여 자기의 성품 가운데 만법이 다 나타나 일체법에 자재하나니, 청정법신이라고 이름하느니라.

  何名淸淨<法>身佛 世人 性本自淨 萬法 在自性(姓) 一切
法 盡在自性 自性 常淸淨 日月 常明(名) 只爲雲盖覆 上明
(名)下暗 不能了見日月星(西)辰 忽遇慧風 吹散 卷盡雲霧 萬
象森羅 一時皆現 世人性淨 猶如淸天 惠如日智如月 智惠常明
(名) 於外 着境(看敬) 妄念浮雲 盖覆 自性(姓) 不能明(名) 故
遇善知識 開眞法 吹却迷妄 內外明(名)徹 於自性(姓)中 萬法
皆現 一切法 自在性(姓) 名淸淨法身-敦 三百二(29)

   무엇을 청정법신이라 하는가? 세상 사람의 자성이 본래 청정하여 모든 법이 모두 자기의 성품으로부터 나느니라. 모든 법이 자기의 성품 가운데 갖추어 있으니 하늘이 항상 맑음과 같으며, 해와 달이 항상 밝되 뜬구름이 덮이면 위는 밝고 아래는 어둡다가 문득 바람이 불어 모든 구름이 흩어지면 위 아래가 함께 밝아서 모든 모양이 다 나타나는 것과 같으니라. 세상 사람의 성품이 항상 떠돌아다님도 저 구름 낀 하늘 같아서 또한 그와같으니라. 지(智)는 해와 같고 혜(慧)는 달과 같아 지혜(智慧)가 항상 밝거늘, 밖으로 경계에 집착하여 망념의 뜬구름이 덮여서 자성이 밝고 맑지 못하다가, 만약 선지식을 만나 참된 법을 듣고 미망을 스스로 없앤다면 내외명철하여 자기의 성품 가운데 만법이 모두 나타나나니, 성품을 본 사람도 또한 이와 같으므로 이를 청정법신불이라고 이름하느니라.

何名淸淨法身 世人 性本淸淨 萬法 皆從自性生 諸(30)法 在
自性中 如天常淸 如日月 常明 爲浮雲 盖覆 上明下暗 忽遇風
吹 衆雲 散盡 上下俱明 萬象 皆現 世人性 常浮遊 如彼雲天
亦復如是 智如日慧如月 智慧常明 於外 著境 被妄念浮雲 盖
覆 白性 不得明朗 若遇善知識 聞眞法 自除迷妄 內外明徹 於
自性中 萬法 皆現 見性之人 亦復如是 此名淸淨法身佛-大.興.
德.宗 三百二(31)

  * 만법의 근원인 청정자성(淸淨自性)을 덮은 망념의 뜬구름을 다 흩어버리면 우주의 위 아래와 몸과 마음의 안팎이 확연명철(廓然明徹 툭 트이어 사무쳐 밝음)하여, 깨끗한 유리병 속에 밝은 달을 담은 것과 같다. 내외명철을 <영락경(瓔珞經)>, <능엄경(楞嚴經)>에서는 구경묘각(究竟妙覺)이라고 하였으며, 육조는 법신불(法身佛)이라고 하였다. <천태사교의 원교장(天台四敎儀圓敎章)>에서는 아래와 같이 자세히 설명하였다.
   "미세한 무명(無明)을 나아가 부수고 묘각의 지위에 들어가서 무명의 부모를 영원히 이별하고 구경의 열반산정에 오르니 대열반이라 이름하는지라, 청정법신을 이루어 상적광토(常寂光土 언제나 고요한 광명 세계)에 사니, 곧 원교불상(圓敎佛相 원교의 부처님 모습)이니라[進破微細無明하고 入妙覺位하야 永別無明父母하고 究竟登涅槃山頂하니라 名大涅槃이라 成淸淨法身하야 居常寂光土하니 卽圓敎佛相也니라]."
   자재보살(自在菩薩)들이 오매일여(寤寐一如 자나깨나 한결 같음)는 되어도 구경묘각을 실증(實證)하지 못하면 '내외명철'의 경지는 되지 못하니, 이는 삼세의 모든 부처님의 극심심처(極甚深處 지극히 깊은 곳)이다.
   동황본에는 '견성한 사람도 또한 이와 같다[見性之人도赤復如是라]'는 구절이 빠졌으나, 망념이 없어져 만법이 모두 나타난 청정법신불이 곧 견성이므로 상관이 없다. 이로써 육조는 견성이 곧 성불임을 분명히 말씀하셨다.

   자기 성품의 심지(心地 마음자리)를 지혜로써 관조(觀照 비추어 봄)하여 내외명철하면 자기의 본래 마음을 아나니, 만약 본래 마음을 알면 곧 본래 해탈이요 이미 해탈을 얻으면 곧 반야삼매요, 반야삼매를 깨치면 이것이 곧 무념이니라.

`自性心地 以智慧觀照 內外明(名)徹 識自本心 若識本心 卽是
解脫 旣得解脫 卽是般若三昧 悟般若三昧 卽是無念-敦 三一
八(34)

   지혜로 관조하여 내외명철하면 자기의 본래 마음을 아나니 만약 본래 마음을 알면 곧 본래 해탈이요, 만약 해탈을 얻으면 곧 반야삼매며 무념이니라.

智慧觀照 內外明徹 識自本心 若識本心 卽本解脫 若得解脫
卽是般若三昧 卽是無念-大.興.德.宗 三一八
  *앞 항(項)에서는 내외명철이 청정법신불이라 하였고, 이 항에서는 내외명철이 곧 식심(識心 마음을 앎), 해탈, 반야삼매(般若三昧), 무념(無念 생각 없음)이라고 하였다. 식심은 곧 견성이므로, 견성은 법신불(法身佛)이며 반야삼매며 무념임을 말하여 주고 있다.

   곧 견성을 하여서 반야삼매에 들어가느니라.

卽得見性 入若三昧-敦 三一四(35)
  *견성은 곧 반야삼매임을 말한다.

   육진(六塵) 속에서 여의지도 않고 물들지도 않아서 오고 감에 자유로움이 곧 반야삼매며 자재해탈이니, 무념행이라고 이름하느니라.

於六塵中 不離不染 來去自由 卽是般若三昧 自在解脫 名無念
行-敦 三一八

   육진 속에서 물들지도 않고 섞이지도 않아서, 가고 옴에 자유로우며 널리 사용하여도 걸림 없음이 곧 반야삼매며 자재해탈이니, 무념행이라고 이름하느니라.

於六塵中 無染無雜 來去自由 通用無滯 卽是般若三昧 自在解
脫 名無念行-大.德.興.宗 三一八(36)
  *식심, 견성, 해탈, 무념, 반야삼매 등은 모두 법신불이며, 묘각인 내외명철임을 강조하여 말하였다. 이는 견성이 곧 성불이라고 말함이니, <기신론(起信論)의 '구경각 즉 견성(究竟覺卽見性)'과 같은 말이다. 육조는 '견성이 곧 성불'임을 이렇게 소상하고 정확하게 말씀하였으므로, 견성하여 점수(漸修 점차로 닦음)한 뒤에 성불한다는 것은 육조의 정통 사상이 아니니, 이러한 주장은 육조의 정전(正傳)에서 배제되어야 한다.
,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