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 조태위 공현에게 답함


  내가 비록 나이가 들어가나 감히 부지런히 힘쓰지 않으면 안 되어 힘써 이 일로 납자의 무리를 떨쳐 분발시키니 한 끼 죽 먹은 후에 명패를 내어 많은 사람에게 돌리어 방에 들게 하니 간혹 목숨을 짊어진 자는 낚시에 걸려오고 또한 사람을 무는 사자도 있습니다.

  이러한 법희선열(法喜禪悅)로 즐거움을 삼으니 전혀 피곤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또한 조물(造物)이 어여삐 보아줍니다.

  그대는 복과 지혜가 모두 온전하여 날마다 임금의 곁에 있으면서 이 일대사 인연에 뜻을 두고 있으니 진실로 불가사의한 일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세력이 있으면 벼슬자리에 나아가지 않기가 어렵고 부귀하면 도를 배우기가 어렵다.”고 하셨는데 수많은 생(生)에 일찍이 선지식을 받들어 모시고 반야종자를 깊이 심지 않았다면 어찌 이와 같이 믿을 수 있겠습니까? 오로지 이렇게 믿는 곳이 바로 부처를 이루고 조사가 되는 기본입니다.

  원컨대 그대는 오로지 믿는 곳에서 엿보아 잡아(화두를 들어) 오래하면 스스로 깨우칠 것입니다.

  그러나 첫째로 뜻을 두어 안배(安排)하여 깨달을 곳을 찾지 말지니 만약 뜻을 둔다면 어긋나버립니다.

  부처님께서 이르시되 “불도(佛道)는 사의(思議)할 수 없다 누가 부처를 사의할 수 있겠는가?” 또 부처님이 문수사리(文殊師利)에게 물어 이르시되 “너는 부사의삼매(不思議三昧)에 들어가는가?” 문수가 이르시되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저는 사의(思議)하지 않습니다. 이 마음이 사의하는 것을 보지 못하는데 어찌하여 부사의 삼매에 들었다고 하겠습니까?”라고 했습니다.

  내가 처음에 발심하여 이런 선정(禪定)에 들고자했으나 지금 생각해 보니 참으로 마음의 생각이 없고서 삼매에 들었습니다.

  마치 사람이 활 쏘는 것을 배움에 오래 익히면 솜씨가 생겨 뒤에는 비록 무심(내가 꼭 과녁의 중앙을 맞히겠다는 생각이 없으나)하나 오래 익혔기 때문에 화살을 쏘면 다 맞으니 나도 또한 이와 같이하여 처음 부사의삼매(不思議三昧)를 배울 때 한 곳(一緣)에 마음을 묶어 두었습니다.

  만약 오래 익혀 성취하면 다시 마음의 생각이 없더라도 항상 정(定)과 더불어 함께하니 부처님과 조사의 수용처(受用處)가 둘이 아니며 다름도 없습니다.

  최근 총림에 한 종류의 삿된 선이 있어 눈을 감아 눈동자를 숨기고 입을 굳게 다무는 것으로 망상을 내어 부사의(不思議)한 일이라고 하며 또한 위음나반(威音那畔), 공겁이전(空劫以前)의 일이라고 하며 막 입을 열면 곧 업에 떨어졌다고 하며 (묵묵히 비추어 보는 것이) 또 근본상(根本上)의 일이라고 하며 또 깨끗함이 지극해 빛이 뚫고 이른다고 하며 깨달음으로 이구(二句)에 떨어져 있다고 하며 깨달음으로 지엽적인 일이라고 하니 대개 그는 처음 걸음을 내디딜 때 곧 어긋나되 또한 잘못된 것인지 알지 못하고 깨달음을 방편으로 세워둔 것이라고 하니 이미 스스로 깨달을 문이 없습니다.

  또한 깨달음이 있다는 것도 믿지 못하니 이러한 것은 대반야(大般若)를 비방하는 것이며 부처님의 혜명(慧命)을 끊는 것이라고 부릅니다.

  천불(千佛)이 세상에 오시더라도 참회가 통하지 않습니다.

  그대가 사람을 점검하는 안목을 갖춘지가 오래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무리들은 사자의 가죽을 쓰고 여우의 울음을 내니 알지 않으면 안됩니다.

  내가 그대와 더불어 비록 얼굴을 마주하고 이야기하지 않았지만 이 마음이 이미 묵묵히 서로 계합함이 여러 해(多年) 되었습니다.

  이 앞에 대답한 글이 지극히 예를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지금 특별히 법공(法空)선인을 보내어 대신 가서 공경하게 하기 때문에 선사유삼매(善思唯三昧)에 들 겨를도 없이 다만 이렇게 손가는 대로 생각나는 대로 나도 모르게 말이 이와 같이하여 그나마 공손치 못함을 사과합니다.
,
comments powered by Disq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