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머리말(序言)
 
혜능 惠能 대사가 대범사 강당의 높은 법좌에 올라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설하고 무상계 無相戒를 주니 그때 그 법좌 아래에는 비구, 비구니, 도교인, 속인이 일만여 명이 있었다. 소주 韶州 자사 刺史 위거 韋據와 여러 관료 삼십여 명과 유생 등이 함께 대사에게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설해주기를 함께 청할 때, 자사가 문인 門人 법해 法海로 하여금 기록을 모아 널리 유행케 하여 후대 後代에 도를 배우는 사람으로 하여금 이 종지 宗旨를 계승하여 서로 전해주게 함이라. 의지하고 믿는 바가 있어 받들고 계승하기 위해서 이 단경 壇經을 설하였다.
   
   이 『육조단경』이 설해진 대범사는 지금 중국 소주韶州에 가면 시장 안에 대감사라는 절이 있는데, 그 대감사의 옛날 이름이 대범사입니다.
   이 대범사 강당에서 『육조단경』을 설했는데 그때 비구, 비구니, 도교인, 일반인이 모두 일만여 명이나 되었다고 합니다. ‘소주 자사 위거’라고 나오는데, 여기서 소주韶州는 중국의 남쪽 광동성에 있는 지명이고 ‘자사刺史’는 주지사 정도의 관직을 말합니다. 그러니까 소주 주지사 위거韋賈라는 분이 여러 대중과 함께 법을 청했다는 것이죠.

   여기에 『육조단경』을 설한 동기가 나옵니다. 문인 법해를 시켜 기록을 모아 후대 사람들이 이를 보고 종지宗旨를 서로 전해 끊어지지 않게 끝까지 계승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 단경을 설했다고 분명히 밝히고 있습니다. 다행히 지금 우리도 이 단경을 공부하고 있습니다만, 이 단경을 보면서 종지를 계승하는 데 목적이 있다는 의미도 알아야 하겠습니다.
 
  그리고 여기에 ‘의지하고 믿는다’는 말이 있는데 ‘뭘 의지하고 믿느냐?’ 하면 이 단경에서 말하는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우리는 의지하고 믿어야 됩니다. ‘마하반야바라밀법’은 다 해석하고 있습니다만, 이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의지하고 그 법을 우리가 믿어 이 종지를 계승하기 위해서 이 단경을 설했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이 단경을 설하고 우리가 단경을 배우는 목적이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 이 법法을 우리는 믿고 의지하고 이 종지宗旨를 계승하는 데 단경을 설한 목적도 있고, 단경을 배우는 목적도 있습니다.
,
comments powered by Disqus